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스타일/생활 정보

은행 전세대출과 달라요! LH 청년전세임대, 순서 틀리면 ‘지원 무효될 수 있어요’

by 사핀치 2025. 5. 26.

 

부동산이나 전셋집을 알아보는 청년들 사이에서 요즘 자주 들리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LH 청년전세임대 대출”이라는 말인데요.

이 표현이 은행 전세대출과 섞여 쓰이다 보니, 많은 분들이 '그냥 은행 가면 받을 수 있는 대출'이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완전히 잘못된 정보입니다. 오늘 이 글에서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 먼저, 핵심만 요약하면?

  • LH 청년전세임대는 은행 대출이 아닙니다.
  •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직접 운영하는 주거복지제도입니다.
  • 정해진 ‘신청 기간’과 ‘지원 대상’이 있어야만 신청 가능합니다.
  • 지원 대상자로 선정되지 않은 사람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 LH 청년전세임대란?

LH 청년전세임대는 은행에서 돈을 빌리는 게 아니라,
LH가 청년을 대신해 전세보증금을 집주인에게 내주는 방식의 복지 정책입니다.

청년은 입주한 뒤 저렴한 임대료(대개 연 1~2% 수준)를 부담하며 거주하게 됩니다.
즉, 본인이 집을 구하되, LH가 보증금 대부분을 대신 내주는 구조죠.


- 자주 하는 오해 Top 3

1. ❌ "그냥 전세 계약서 들고 은행 가면 대출되는 거 아냐?"

➡️ 아닙니다. 은행은 LH 청년전세임대를 취급하지 않습니다.

이건 민간 금융기관이 하는 전세자금대출과 전혀 다릅니다.
LH라는 공공기관이 직접 심사하고 보증금을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2. ❌ "내가 집 알아보고 계약하면 나중에 신청하면 되지!"

➡️ 절대 안 됩니다.

LH 청년전세임대는 ‘지원 대상자’로 선정된 이후에만 집을 구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그전에 먼저 계약을 해버리면, 그 계약은 LH가 지원해 줄 수 없는 ‘제도 외 계약’으로 간주되어 무효가 될 수 있습니다.


>> 왜 그런가요? 계약을 먼저 하면 안 되는 이유!

LH 청년전세임대는 공공 예산을 사용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모든 전세계약은 LH의 사전 승인과 심사를 반드시 받아야 합니다.

  1. LH가 먼저 ‘집의 조건’을 심사해야 합니다.
    보증금, 구조, 위치, 계약 형태 등이 LH 기준에 맞아야 하며, LH의 허가가 떨어져야 계약이 성립됩니다.
    LH의 사전 승인 없이 미리 계약한 집은 대상에서 제외돼요.

  2. 제도 외 계약은 LH와 무관한 개인 계약입니다.
    LH는 대상자가 되기 전에 임의로 진행한 계약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실제로 이미 계약했는데 LH 지원 가능한가요?라는 질문이 많지만,
    대부분 무효 처리되거나 탈락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절차를 어기면 ‘지원 자격’ 자체가 취소될 수 있어요.
    LH는 계약 시점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두고 있으며, 이를 어기면
    '지원 자격 박탈 또는 선정 취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기억하세요! 필수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신청서 제출
  2. 서류 심사 지원 대상자 선정
  3. 이후 원하는 집을 찾고 LH에 사전 승인 요청
  4. LH가 승인한 뒤 임대인과 계약 체결
  5. 최종 입주

> 이 순서를 꼭 지켜야 LH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거 아니야?"

➡️ 조건이 있습니다.
LH는 매년 정해진 시기에, 정해진 조건을 갖춘 사람에게만 기회를 줍니다.

#전세지원정책 #청년전세대출오해 #사회초년생전세지원


- 누가 신청할 수 있을까? (2025 기준 예시)

<구분주요 조건>

연령 만 19세 ~ 39세 이하 (신청일 기준)
소득 본인 소득이 기준중위소득 100% 이하
자산 총 자산 2.92억 원 이하, 자동차 3,557만 원 이하
주거 무주택자여야 함
기타 대학 재학/졸업예정자,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 등

✨ 매년 공고마다 조건이 조금씩 달라지니, LH 홈페이지 또는 마이홈 포털에서 반드시 최신 공고 확인이 필요합니다! 링크는 바로 밑에! 신청서 go go!

 


- 신청은 언제? 어디서?

신청은 매년 정해진 기간에만 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접수합니다.

- 신청처:

- 모집 시기 예시 (매년 상반기 또는 하반기)

  • 3월부터 4월까지 또는 8월부터 9월까지 사이에 공고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신청 → 서류심사 → 대상자 선정 → 집 찾기 → 계약 진행의 순서! 기억하기!

- 어떤 집에 살 수 있나요?

  • 수도권 기준 전세보증금 약 1억 5천만 원 이하
  • 전국 평균은 1억 원 내외
  • 전세 또는 보증부 월세 형태 가능
  • LH의 허가를 받은 집이어야 함 (기준 충족 필수)

- 마무리 꿀팁

✔️ LH 청년전세임대는 무조건 지원해 주는 제도가 아닙니다.
✔️ '지원 대상자로 먼저 선정되어야 모든 게 시작됩니다.
✔️ 일반 은행의 전세대출과 혼동하면 큰 실수로 이어질 수 있어요!
✔️ 계약은 무조건 대상자 선정 후에만 진행 가능합니다.

#LH청년전세임대 #청년주거복지


- 글 마무리 -

LH 청년전세임대는 은행 전세대출이 아니라, 복지성 주거지원 제도다.


이 말 하나만 정확히 알고 있어도,
헛수고도 줄이고, 불필요한 계약서 작성이나 오해도 막을 수 있습니다.

Denps 덴프스 | 덴마크 유산균 이야기 - 변비 직빵 <1>

유산균 | 스완슨 프로바이오틱 영양제 먹어보았다 - 변비직빵 <2>

다이어트 - 살이 빠질 때 느껴지는 6가지 증상

댓글